2025. 7. 2. 17:00ㆍ일상/정부지원
청년이라서 더 막막하신가요?
월급은 그대로인데 월세·식비는 계속 오르고, 저축은커녕 카드값도 빠듯한 현실.
아무리 부업으로 매꾸려해도 정말 어렵죠?
이럴 때 정부가 '청년 맞춤형 자산형성 지원금'을 새롭게 확대했습니다.
7월부터 본격 시행되는 제도만 잘 챙겨도, 최대 3,5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고 월세도 현금 지원 받으실 수 있어요.
👉 지금 이 글에서 바로 신청방법 확인하세요!
① 청년도약계좌 – 5년 후 3,500만 원? 진짜 됩니다.
정부가 매달 직접 적립금을 붙여주는 장기형 적금 상품입니다.
청년 본인이 월 최대 70만 원 저축하면, 정부가 매달 최대 33,000원 추가 지원!
✔️ 대상 : 만 19~34세, 연소득 7,500만 원 이하 + 가구소득 중위 250% 이하
✔️ 지원 금액 : 최대 월 103만 원 × 60개월 = 약 3,500만 원 목돈 가능
✔️ 비과세 혜택까지 포함
👉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계좌 개설 신청 가능
청년도약계좌 신청하러 가기
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
www.kinfa.or.kr
② 청년내일저축계좌 – 월 10만 원 저축하면 30만 원 됨
소득이 낮은 청년이라면 1:1 혹은 1:3 정부 매칭으로 3년간 최대 1,440만 원을 만들 수 있어요.
✔️ 대상 : 만 19~34세, 월 소득 50만~250만 원 이하, 중위소득 100% 이하
✔️ 지원 방식 : 매월 10만 원 적립 시, 정부가 추가 10만 or 30만 원 매칭
✔️ 총 수령 가능 금액 : 최대 1,440만 원
👉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연 1회 모집 공고 시 신청
복지로 접속하기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
www.bokjiro.go.kr
③ 청년 월세 지원 – 매달 20만 원 '현금 지급'
자취 중이신가요? 월세 40만 원 내면서 부모 도움 없이 버티는 청년이라면 정부가 매월 20만 원, 1년간 월세를 대신 냅니다.
✔️ 대상 : 만 19~34세 무주택자, 본인 + 부모 소득 기준 충족
✔️ 금액 : 매달 20만 원 × 최대 12개월
✔️ 신청 방법 :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방문
👉 월세 날리는 청년 없도록! 꼭 신청하세요.
월세지원 신청 바로가기
④ 청년내일채움공제 – 2년 근무 후 1,200만 원 현금
중소기업 취업 청년이라면 2~3년 근속 시 정부·기업에서 적립금 지원까지 해주는 ‘보너스’ 제도입니다.
✔️ 대상 : 정규직 취업 청년, 연봉 3,000만 원 이하
✔️ 금액 : 2년 근무 시 총 1,200만 원, 3년 시 3,000만 원까지도 가능
✔️ 신청 : 워크넷 + 중진공 공제 신청
👉 이직보다 버티는 게 이득일 수 있어요!
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바로가기
https://www.sbcplan.or.kr
www.sbcplan.or.kr
신청 시 꼭 확인하세요
지원제도 | 지원금액 | 신청시기 | 비고 |
청년도약계좌 | 최대 3,500만 원 | 7월 중순 (은행 앱) | 예금자 보호, 5년 유지 |
청년내일저축계좌 | 최대 1,440만 원 | 연 1~2회 공모 | 저소득 청년 대상 |
청년월세지원 | 월 20만 원 | ~11월 30일까지 | 예산소진 전 신청 |
청년내일채움공제 | 2년 1,200만 원 | 취업 후 6개월 내 | 중소기업 취업자 |
청년이라면 이건 무조건!!!!
💡 청년도약계좌, 청년내일저축계좌, 월세지원, 내일채움공제.
이 4가지만 알면 정부 돈으로 5천만 원 이상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.
👉 지금 바로 해당 링크에서 신청 확인해보세요.
🔖 태그 키워드
#청년도약계좌 #청년내일저축계좌 #청년월세지원 #청년내일채움공제 #2025청년지원금 #정부청년정책 #청년자산형성 #복지로신청 #내집마련청년 #청년맞춤형금융 #2025정책시리즈
'일상 > 정부지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놓치면 300만 원 날립니다. 바로신청 – 2025년 저소득층 정부지원 총정리 (1) | 2025.07.08 |
---|---|
65세 이상이라면 무조건 신청! – 7월부터 바뀌는 복지제도 총정리 (2) | 2025.07.03 |
7월부터 소상공인에게 '현금' 퍼집니다 – 전기세·택배비·카드까지 받는 법 (5) | 2025.07.02 |
이번 달 놓치면 끝! 7월부터 바뀌는 복지제도 한눈에 정리 (0) | 2025.06.30 |
2025년 새정부 추가경정예산안 발표(6.19) – 누구에게 얼마가 지원되나? (2) | 2025.06.19 |